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가 올해부터 회복 단계에 들어서 2026년에는 반등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완화적 통화·재정정책과 소비심리 개선이 민간 소비 회복을 견인하면서 성장세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전날 '2025년 한국 연례협의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IMF 미션단이 9월 11일부터 24일까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과 진행한 연례협의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서 IMF는 한국경제가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하고, 내년에는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와 정책효과 반영으로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IMF는 한국의 성장률을 올해 0.9%, 내년 1.8%로 전망했다.
IMF는 "대내외 충격에도 한국경제는 견조한 회복력을 보여 왔다"며 "견실한 경제 기초여건과 정부의 정책 운용이 회복세를 뒷받침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글로벌 무역 리스크, 지정학적 긴장, AI 수요 둔화 등 하방 요인도 여전히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물가상승률은 원화 강세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25년 2.0%, 2026년 1.8%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상수지는 단기적으로 실효관세율 상승의 영향으로 흑자폭이 축소될 수 있으나, 중기적으로는 수출 회복과 해외투자소득 증가에 힘입어 개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 부문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확장적 기조가 나타났지만, 중기적 재정기조는 중립적이며 향후 5년간 재정여력과 부채 수준도 양호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금융 부문 역시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과 PF 리스크 관리 등 선제적 정책 대응을 기반으로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IMF는 새정부의 단기 경기부양 전략과 중장기 성장전략 역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올해 추경과 내년 예산안의 지출 우선순위가 IMF 권고와 대체로 일치한다며, 경기 하방 위험이 현실화할 경우 추가적인 완화정책도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IMF는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세입 기반 확충, 지출 효율화 등 중기 재정체계 보완을 주문했다. 잠재성장률 회복 이후에는 물가 압력 등을 고려해 재정기조 조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계부채 관리, 고령자 고용 확대,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직무 중심 임금체계 전환 등을 통한 가계 소득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수출 측면에서는 첨단 제조업 경쟁력 유지와 함께 서비스 수출 확대, 역내 교역 강화 등 수출 기반 다변화를 권고했다.
IMF는 "한국 정부가 제시한 경제성장전략이 이러한 권고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수출 회복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잠재성장률 3% 달성을 위해서는 서비스업·중소기업 규제 완화와 AI 도입 확대 등 구조개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