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기 본지 회장
"거짓말 하지 말아라",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지 말아라", "늘 올바르게 행동하라".
자식들을 키우며 수십 년간 반복해온 말이다. 자녀들이 불혹을 넘긴 지금도, 그 말은 여전히 '잔소리'라는 이름으로 자녀들을 향한다.
특별한 교육관이나 철학이 있어서가 아니다.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인간으로서 지켜야할 기본이자 상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를 지켜보고 있노라면, 이 기본과 상식조차 무너진 현실에 탄식이 절로 나온다.
그중에서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각종 의혹과 대응 방식은 실망을 넘어 분노를 자아내게 한다.
여성을 대변하며 약자의 권익을 외쳐온 정치인이 정작 갑질 논란, 허위 해명 등 각종 특권과 위선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배신감이 든다.
특히 지난 14일 청문회 당일 벌어진 '음식물 쓰레기 갑질' 해명은 후보자의 신뢰를 뿌리째 흔들었다.
강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보좌진에게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차에 음식을 놓고 내린 건 내 잘못"이라면서도 "직접 지시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같은 날 저녁, 모 언론매체를 통해 "이거 버려줘요", "차에 음식 남았어요" 등 구체적인 지시 정황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단순한 기억 착오나 해명이 아니라, 명백한 거짓말이었음이 입증된 셈이다.
여기에 더해, 강 후보자가 국회의원 재직 시절 '임금 체불' 진정을 두 차례나 받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15일 고용노동부 자료를 공개하며, 강 후보자가 근로기준법 제36조 위반과 관련된 진정을 2020년과 2022년에 각각 받았다고 밝혔다.
하나는 '신고의사 없음'으로, 또 다른 하나는 '법적용 제외'로 행정 종결됐지만, 국가기관에 국회의원실의 임금 체불이 공식적으로 접수된 것만으로도 충격이다.
이쯤 되면 묻지 않을 수 없다. 왜 우리는 끊임없이 이런 사람들을 '후보자' 자리에 앉혀야 하는가? 정치권은 진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인재를 찾고 있는가? 아니면 여전히 '내 사람'만 챙기려는 관성에 빠져 있는가?
국민이 원하는 것은 대단한 영웅이 아니다. 최소한의 정직함, 기본적인 상식, 그리고 공직자로서의 책임감을 갖춘 인물이다.
그것마저도 충족하지 못한 채 "정치적 음해"라는 말로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에게 국가의 미래를 맡길 수는 없다.
거짓은 언젠가 드러난다. 권력은 진실 위에 세워질 때에만 지속 가능하다. 만약 강 후보자가 끝내 임명된다면, 그 임명권자 역시 그 거짓과 갑질에 동조한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공직은 특권이 아니다. 국민을 위한 봉사이며, 그 자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격'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치권은 지금, '내 편'이면 무조건 감싸는 구태의 진영 논리에 빠져, 그 자격이 부재한 사람에게 너무도 쉽게 권력을 허락하고 있는 건 아닌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