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내 건설·주택시장이 기술적 반등을 시도하겠지만, 구조적 저성장과 선행지표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회복의 깊이'는 얕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 상승과 지방 부진이 맞물린 양극화 구도도 그대로 유지돼 시장 전반의 체감 회복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진단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25일 열린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도 건설·주택 시장의 핵심 동향을 발표했다.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고착된 저성장 구조 속에서 국내 경제성장률이 2%를 넘기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거시 제약이 건설·주택시장 전반에 걸쳐 구조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원은 올해 건설시장을 '전반적 위축 국면'으로 규정했다.

수주·허가·착공·기성 등 핵심 선행·동행 지표가 모두 약세를 보이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물량 축소가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올해 건설투자는 –9% 감소한 264조 원, 내년에는 2% 반등한 269조 원이 예상된다. 다만 반등 폭은 기술적 회복 수준에 머물 것으로 진단됐다.

전문건설업 계약액 역시 2025년 –7%, 2026년 4%로 전망되지만, 공사비 상승이 반영된 경상 수치라는 점에서 실질 회복력은 더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선구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PF 불확실성 완화 등 긍정 신호가 감지되지만, 착공 감소에 따른 공급 기반 축소, 지역별 건설경기 격차, 안전 규제 강화 등 구조적 요인이 회복 속도를 제약하고 있다"며 "내년도 반등은 저점에서의 미세 조정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주택시장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수도권·지방 간 격차가 뚜렷한 양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수도권은 거래·매수심리·가격의 회복이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공급 지연이 맞물리면서 2~3% 상승세가 예상된다.

반면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인구·수요 기반 약화로 보합 또는 –1% 내외 하락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 3기 신도시 지연, PF 불안 등으로 중기적인 공급 공백이 심화되는 반면 지방은 구조적 수요 축소가 본격화되는 단계"라며 "전국 평균의 회복은 가능하지만 체감 회복은 지역에 따라 극명하게 갈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정부·업계·학계 전문가들이 △경기 반등의 한계 △지역 격차 확대 △건설산업 구조 전환 필요성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김희수 원장은 "1990년대 이후 건설투자 성장률 둔화가 지속돼 왔으며 앞으로도 0~1% 범위의 저성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양적 성장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스마트건설·디지털 전환·규제 개선·지역 산업 생태계 강화 등 질적 성장 전략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