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글로벌 영업조직의 일부 인력을 감축하며 구조 재편에 나섰다.

표면적으로는 고객 참여 전략 강화라는 설명을 내놨지만, 실제로는 정부·기관 대상 B2B 수요의 둔화와 비용 효율성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애플은 24일(현지시간) 전 세계 세일즈 조직을 재정비하면서 일부 인원을 감축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감축 규모는 제한적이며, 영향받는 직원들에게는 내부 신규 포지션에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번 조치가 단순한 조직 슬림화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정의 핵심 대상은 대형 기업, 교육기관, 정부기관 등을 담당하는 계정관리(Account Management) 인력이다.

특히 미국 국방부와 법무부 등 주요 연방기관을 상대하던 정부 영업팀의 비중 축소가 두드러졌다.

업계에서는 이를 최근 연방정부의 43일 셧다운과 예산 절감 기조가 지속되면서 정부 지출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정부 효율성부(DOGE)의 예산 축소 조치를 포함한 공공부문 긴축은 애플뿐 아니라 여러 글로벌 IT 기업의 B2G(Business-to-Government) 수요를 압박해왔다.

최근 테크 업계는 인공지능(AI) 전환 투자 확대에 따라 '선택과 집중'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버라이즌, 시놉시스, IBM 등 주요 IT 기업들도 지난 몇 주간 영업·지원 조직을 중심으로 인력 조정에 나서며 비용 통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 역시 아이폰 중심의 하드웨어 매출이 정체 국면에 머무르고 있는 가운데, 서비스 부문의 성장세가 강화되는 구조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B2B 영업 조직보다 AI 기반 서비스·구독형 제품군에 집중하는 전략적 재배치가 불가피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감축이 숫자상으로는 '경미한 수준'이라 하더라도, 애플의 조직 재편 기준이 보다 명확히 드러났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공공·기관 중심의 저수익 채널은 축소하고, 데이터·AI 기반 고객 접점은 강화한다는 구조적 방향성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기업·기관 대상 제품 브리핑센터 운영 인력도 감축되면서, 애플이 B2B 영업 모델을 효율화하고 있는 흐름 역시 뚜렷해졌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인력 감축의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중장기적으로 애플의 영업·서비스 전략이 소프트웨어·AI 중심 기업의 방향으로 더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한다.

B2G·B2B 수요가 둔화되는 환경에서 영업조직을 재정비하고 수익성이 높은 부문으로 자원을 이동시키는 전략은 향후 몇 분기 동안 추가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