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의 피해가 특정 세대나 가입 기간에 국한되지 않고 전 계층에 걸쳐 무차별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총 362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20년 이상 KT를 이용한 장기 가입자도 10명 포함돼 충격을 더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1999년 가입자가 3명, 2000년 가입자 2명, 2002년 가입자 1명, 2004년 가입자 4명 등 장기 고객 피해가 확인됐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 7월 7일 KT에 신규 가입한 고객도 소액결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입 유형도 다양했다. KT 본사 고객뿐만 아니라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59명도 피해자 명단에 포함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씩을 차지했다. 이어 20대가 36명, 60대 이상이 51명으로 나타나 세대를 가리지 않고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소액결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신용카드 정보 도용 등 2차 피해로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지난 9일 서울 시내 KT 판매점 앞에서는 소비자 불안감이 확산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난 것이 명확하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던 만큼, KT는 근본적인 책임을 져야 하며 손해배상과 함께 재발 방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