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인사·채용 현장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이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고, 청년층의 절반 가까이도 취업 준비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는 등 채용 생태계 전반이 기술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28일 발표한 '2025년 기업 채용동향조사' 2차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기업과 청년층 모두에서 AI 기반 채용·업무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와 전국 청년 재직자 3,093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시행됐다.
응답 기업 396곳 가운데 인사 업무 전반에 AI를 사용하는 비율은 86.7%로, 이미 대부분 기업이 AI 기반 도구를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공식적으로 AI를 도입한 기업은 163곳(41.2%)이며 활용 분야는 '직원 채용'(52.8%), '교육·훈련'(45.4%), '인사 문의 응대'(45.4%) 순이었다.
특히 직원 채용 단계에 AI를 활용하는 기업은 전체의 21.7%에 달하며, AI 기반 인적성·역량 검사(69.8%), 지원서류 자동 검토(46.5%), AI 면접 또는 면접 분석(46.5%) 등에 집중되고 있다.
향후 AI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기업도 74.5%에 달했다. 반면 도입 계획이 없는 기업(25.5%)은 공정성·객관성 불신(36.6%)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정부 지원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AI 채용 윤리·개인정보 보호 기준 마련'(65.4%), 'AI 공정성 검증'(50.3%) 요구가 높았다.
청년층의 AI 활용은 취업 준비 단계와 직장 내 업무 모두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AI 도구를 사용한 비율은 42.3%, 활용 목적은 자기소개서·이력서 작성(77.2%), 면접 연습(36.4%), 기업 정보 탐색(31.0%)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86.6%는 AI가 실제로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청년 재직자의 61.8%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IT(87.7%), 마케팅·홍보(87.0%), 연구개발(79.5%) 직군에서 활용도가 두드러졌다.
AI 채용 전형 경험률은 23.7%였으며, 63.8%는 기업의 AI 채용 도입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다만 AI의 판단 기준 불투명성, 공정성 우려 등은 여전히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고용부는 AI 채용 확산에 대응해 '채용 분야 인공지능 활용 가이드라인'을 연내 마련할 방침이다.
가이드라인에는 AI 평가의 사전 고지, 개인정보 보호, 차별 금지 등 윤리 기준과 단계별 체크리스트가 포함될 예정이다.
청년 AI 역량 강화를 위해 내일배움카드 기반 교육 확대, 고용센터 42곳에 AI 면접실 설치, AI 기반 취업지원 플랫폼(잡케어+, 펌케어) 고도화 등도 추진된다.
임영미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AI 활용이 채용 시장의 주요 흐름이 되고 있다"며 "기업의 공정한 채용과 청년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