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직 취업비자(H-1B)에 연간 10만 달러(약 1억 3,700만 원)의 신규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주요 기술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이 같은 비자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구글 모기업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빅테크 기업과 골드만삭스를 비롯한 주요 금융사들이 직원들에게 해외 출장 자제를 권고하거나 미국 내 체류를 유지하라는 긴급 지침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H-1B 비자는 미국 기업들이 해외 전문 인력을 고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제도로, 현재는 추첨 응모에 소액 수수료를 내고, 이후 승인될 경우 수천 달러의 수수료만 부담하면 된다.

하지만 이번 조치가 시행될 경우 기업들의 부담은 대폭 늘어난다.

올해 상반기에만 아마존과 클라우드 부문 AWS는 1만2,000건 이상의 H-1B 비자를 승인받았으며,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도 각각 5,000건 이상을 확보한 바 있다.

미국 내 IT·금융 업계가 해외 전문 인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변화가 인력 확보 경쟁과 비용 구조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