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인공지능(AI)·심층기술(딥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한 장관은 18일 한국벤처투자에서 열린 'AI·딥테크 유니콘 육성을 위한 벤처투자 정책 간담회'에서 "선배 기업의 노하우와 네트워크, 후배 기업의 기술과 아이디어, 그리고 벤처투자사의 과감한 투자가 결합하는 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유니콘 기업, 나아가 국가대표 빅테크 기업을 탄생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1일, 정부가 추진 중인 대표 벤처투자 프로그램인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NEXT UNICORN Project)'의 운용사 선정을 마친 이후 성과 창출을 위한 추가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AI·딥테크 분야 유망 기업에 성장 단계별로 집중 투자하는 사업으로, 올해 2차 추경을 통해 3,000억 원이 투입된다.
간담회에는 유니콘 기업 쿠팡과 토스, 운용사로 선정된 벤처캐피털, AI·딥테크 분야 스타트업 등이 참석해 투자 방향과 정책 제언을 공유했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정부가 목표하는 AI 3대 강국 실현에 밑바탕이 되는 혁신 AI 스타트업들이 스케일업 할 수 있도록 750억 원 출자를 결정했다"면서, "쿠팡이 보유한 AI 기반 물류혁신 노하우를 토대로 투자받은 기업이 글로벌 진출에 필수적인 성공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AI클라우드 인프라 활용, PoC 협업 등을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현우 토스 CFO는 "기업의 스케일업 단계에서 정책금융기관의 대규모 투자가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해 이후 글로벌 투자유치에도 큰 도움이 됐다"면서, 정부의 과감한 스케일업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법렬 KB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이번 펀드는 기업당 평균 100억 원 이상 스케일업 투자를 주목적으로 설정한 최초의 정책펀드"라면서, "금융권 벤처캐피탈로서 새 정부 '생산적 금융' 기조에 발맞추어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AI·딥테크 분야별 유망기업과 함께 향후 유니콘 도약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를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AI·딥테크 특성상 대규모 시설투자 및 양산이 필수적이므로 이를 뒷받침하는 투자·보증·세제 등 종합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아울러, 급변하는 기술환경을 고려한 전략적 투자재원 배분,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해외투자 유치 지원 및 네트워크 기회 확대 필요성도 논의됐다.
한 장관은 "선배 기업이 가진 노하우와 네트워크, 후배 기업이 가진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가 결합하고, 벤처투자사(벤처캐피탈)의 과감한 투자가 뒷받침되는 혁신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된다면 보다 많은 유니콘 기업, 나아가 국가대표 빅테크 기업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논의된 현장의 생생한 의견과 정책제언은 하반기에 발표할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에 반영해, 유니콘 탄생을 뒷받침하는 두터운 벤처투자 시장과 세계적 수준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