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여파가 금융권과 행정, 부동산 서비스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기업 손실과 시민 불편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일부 은행의 전자결제·대출 서비스가 지연·중단되며 단기적으로 수십억 원 규모의 업무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의도 금융가에서는 주민등록증 기반의 대출 심사와 계좌 개설이 막혀 영업점을 찾은 시민들이 발길을 돌리는 사례도 보고됐다.
다만, 대규모 금융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비대면 인증이 사실상 불가능했으나, 행정안전부 ARS 서비스가 재개되면서 일부 영업점에서는 민증 확인이 가능해졌다.
통신·플랫폼 업계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
국정자원 서버를 활용하던 스타트업과 IT 서비스 기업들은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축소·중단하며 투자자 신뢰도 하락 우려가 커졌다.
일부 기업은 하루 수억 원 규모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관련 온라인 서비스도 차질을 빚었다.
매매·임대차계약 신고가 막히면서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관할 관청을 직접 찾아 신고해야 했고, 청약 관련 서비스도 일부 중단됐다.
우체국 역시 일부 소포 서비스 접수가 불가한 상태가 지속되며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유통·물류 분야도 피해가 컸다. 배송 관리 시스템 마비로 추석 물류 특수기 대응이 지연되며, 일부 기업은 하루 수십억 원 규모의 물류 지연 비용을 부담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가 기업들의 디지털 리스크 관리와 국가 인프라 의존성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은 "국가 기간망과 연결된 기업들이 단일 서버 장애에 취약하다는 점이 드러났다"며 "자체 백업과 다중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해외 투자자들도 반응을 보였다.
아시아·유럽권 EV·IT 관련 펀드 매니저들은 한국 기업의 디지털 안전망 취약성을 우려하며 일부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화재 사태는 단순한 행정 사고를 넘어 산업계 전반의 디지털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으로, 향후 정부와 기업의 대응 체계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