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중소기업 정책금융 체계에 참여한다. 급증하는 개인사업자 대출 수요에 대응하고, 민간·정책금융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의 선택권과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25년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를 열고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 대표가 위원으로 처음 위촉됐다.
인터넷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은 2022년 1.5조 원에서 지난해 4.6조 원으로 급증했다.
회의에는 6대 시중은행장(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은행)을 비롯해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장, 중소기업·소상공인 단체장들이 함께 자리했다.
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정책금융기관과 은행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주요 협약에는 ▲소진공-인터넷은행-신보중앙회 협력으로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리대출 확대 ▲중진공과 KB국민은행·NH농협은행 간 우수기업 금융·수출·교육 연계 지원 등이 담겼다.
특히 내년 하반기부터 인터넷은행들이 소진공 정책자금 대리대출 취급기관으로 참여하면서 소상공인들의 금융 선택지가 넓어질 전망이다.
이날 은행권은 하반기 지원계획도 공유했다.
하나은행은 2조 원 규모 긴급 유동성 지원과 0.7조 원 규모 수출 공급망 금융을 확대하기로 했으며, 우리은행은 '우리 지역선도기업 대출'을 출시해 비수도권 유망기업에 14조 원을 공급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중소기업 공급망 금융 전용 지급결제 플랫폼을 내년 초에 선보이고, 기업은행은 방위산업·AI 분야에 0.4조 원, 소상공인 지원에 7.5조 원을 공급한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정책금융과 민간금융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현장에서 효과가 난다"며 "추석을 앞둔 시중은행의 자금 지원이 차질없이 집행되도록 각별히 신경써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혁신성장과 소상공인 회복을 위한 금융지원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