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사의 대출 연체율이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금융권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업 신용카드사 기준 대출자산 연체율이 올해 1분기 말 2.3%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출자산에는 카드론, 리볼빙, 현금서비스 등 카드대출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기업대출 등 비카드대출이 모두 포함된다.
보고서에서는 비카드대출 연체 급증이 전체 대출자산 건전성 저하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대출 중심인 비카드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0.6%에서 올해 2분기 말 3.0%로 급등했다.
배경에는 내수 회복 지연으로 인한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등 경기 민감 업종의 연체율 상승, 부동산 PF 부실 등으로 건설·부동산 업종의 연체 증가가 포함된다.
대출자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카드론 연체율도 상승세다. 가계 소득 여건 악화 등의 영향으로 2021년 말 1.7%에서 올해 2분기 말 2.4%로 올랐다.
특히 지난해 이후 카드론 신규 차주에서 저소득자 비중이 높아지고 평균 소득도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가 나타나면서 취약차주 비중이 확대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카드론을 중심으로 대출 차주의 경기 민감도와 취약성이 높아졌다"며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이 크므로 자산건전성에 유의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카드사 대출 건전성이 가계·기업 연체 증가로 동반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저소득 가계와 경기민감 업종 중심의 부실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