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의료용품과 첨단 산업기계·로봇 장비 수입을 대상으로 '국가안보 조사(섹션 232)'에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향후 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수출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 상무부는 현지시간 9월 2일부터 조사를 시작했으며, 24일 이를 공식 발표했다.
대상 품목은 마스크·N95 호흡기·수술용 장갑·가운 등 개인보호장비(PPE)부터 주사기·IV백·봉합사·휠체어·병상 등 일상 의료용품은 물론, 심박조율기·인슐린 펌프·스텐트·CT·MRI와 같은 첨단 의료기기까지 포함된다.
로봇과 산업기계 부문 역시 폭넓게 다뤄졌다. 절단·용접 공작기계, 멸균기, 산업용 오븐, 레이저 및 워터커팅 장비 등이 모두 조사 대상에 올랐다.
상무부는 기업들에 미국 내 수요 전망과 자국 생산능력, 해외 공급망 의존도, 외국 정부 보조금 및 무역 관행의 영향을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중국을 지목해 ‘보조금·약탈적 무역 관행’의 영향을 집중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의약품과 드론을 대상으로 별도 진행 중인 섹션 232 조사와도 맞물려, 미국의 공급망·안보 전략이 의료·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흐름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은 반도체, 풍력터빈, 항공기, 전략광물 등 다양한 품목에 대해 유사 조사를 벌인 바 있다.
업계에서는 관세 인상 가능성이 현실화할 경우 한국 기업의 수출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미국 시장 비중이 큰 의료기기·정밀기계 기업은 가격 경쟁력 약화와 공급망 차질에 직면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한 보호무역 장벽을 높이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며 "한국 기업은 생산 거점 다변화와 현지화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 차원에서도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와 함께 무역외교 채널을 통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조사가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한국 업계는 장기적 관점에서 리스크 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