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약 2만8,700호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 공급한다. 올해 4개 공공기관의 분양 물량(2만2,000호)보다 약 30.5% 늘어난 규모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 등 4개 공공기관이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약 2만8,700호의 공공분양주택을 공급한다.
이번 물량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보다 2,000호 증가한 규모로, 경기 2만3,800호, 인천 3,600호, 서울 1,300호다.
이번 공급 규모는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만2,000호)에 비해 약 30.5% 증가한 수치이며, 최근 5년 평균 분양 물량(연간 약 1만2,000호)의 약 2.4배 수준이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500호 ▲2기 신도시 7,900호 ▲기타 중소택지 1만3,300호 등이다.
주요 단지별로는 고양창릉 3,881호, 남양주왕숙 1,868호, 인천계양 1,290호, 평택고덕 5,134호, 광교 600호, 화성동탄2 473호 등이 포함된다.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 1,305호, 구리갈매역세권 287호, 검암역세권 1,190호 등 입지가 양호한 단지들이 다수 포함됐다.
국토부는 "내년 공급물량 상당수는 정주 여건이 우수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및 광역도로망 접근성이 뛰어나 실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토부는 LH 소유의 비주택용지에 대한 용도전환 정례화 제도의 첫 시행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장기간 미활용되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용지를 주택용지로 전환해 공급 여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9·7대책을 통해 발표했고, 제도 도입 전 우선 추진물량으로 1만5,000호를 계획했다.
이에 대해 LH는 우선 추진물량 가운데 4,100호(우선 추진물량 대비 약 27.3%)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비주택용지 용도조정 방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9·7대책으로 착공 중심의 관리체제로 전환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선호하는 입지에 양질의 공공주택을 신속히 공급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남은 기간에도 남양주왕숙 881호, 군포대야미 1,003호를 포함해 수도권에서 추가로 5,100호를 분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