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4차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 수송 능력의 안정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발사는 민간기업이 본격적으로 제작·조립을 총괄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국내 우주 산업의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누리호는 27일 새벽 1시 13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발사 약 40분 뒤인 1시 55분경 주요 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남극 세종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으며, 태양전지판 전개 등 초기 상태가 정상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부탑재된 12기의 큐브위성도 예정된 일정에 따라 지상국과 순차 교신을 진행 중이다.

항우연은 초기 텔레메트리 분석 결과, 누리호가 위성들을 목표 고도 600km의 궤도에 정확히 안착시킨 것으로 판단했다.

이번 발사는 1·2·3단 엔진 연소, 페어링 분리, 위성 분리 등 모든 비행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완성도 높은 미션'으로 기록됐다.

특히 2·3차 발사에 이어 4차까지 연속 성공을 거두며 누리호 시스템의 신뢰성도 안정권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산업적 의미도 크다.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조립을 총괄한 첫 발사체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우주 산업 민간 이전의 신호탄이 된다는 평가다.

정부·연구기관 중심이던 기존 구조에서 벗어나 민간이 개발과 운용 단계로 확대되는 '뉴 스페이스' 전환이 현실화되는 셈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정부는 2027년까지 누리호를 두 차례 더 발사하고, 성능을 향상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도 병행할 것"이라며 "이번 성공은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누리호의 4연속 성공으로 한국은 독자 발사체 기술을 기반으로 위성 발사 수요를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정부의 추가 발사 계획과 민간의 기술 참여 확대가 맞물리면서 국내 우주 산업의 성장세는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