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휴대전화 문자스팸이 1인당 월평균 3.04통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스팸 신고·탐지 건수도 85% 이상 줄어, 정부의 불법스팸 방지 대책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7일 '2025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2~69세 휴대전화 및 이메일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문자·음성·이메일 스팸의 1인당 월평균 수신량과 신고·탐지 건수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올해 상반기 이용자 1인당 월평균 스팸 수신량은 7.91통으로 지난해 하반기(11.60통) 대비 31.8%(3.69통) 감소했다.
스팸 신고·탐지 건수도 3,883만 건으로, 지난해 하반기(2억 2,680만 건)보다 1억 2,069만 건(75.7%) 줄었다.
특히 휴대전화 문자스팸이 크게 줄었다. 올해 상반기 문자스팸 수신량은 3.04통으로, 전반기(7.32통)보다 58.5% 감소했으며, 최근 5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문자스팸 신고·탐지 건수도 3,193만 건으로, 지난해 상반기(2억 1,150만 건) 대비 84.9%(1억 7,957만 건) 급감했다.
반면, 음성스팸은 2.13통으로 전반기(1.53통)보다 39.2% 늘어나 주의가 필요하다. 이메일 스팸은 2.74통으로 전반기(2.75통) 대비 0.4% 감소했다.
문자스팸 유형별로는 도박(로또) 관련 스팸이 1.22통, 금융(투자 유도) 스팸이 0.61통으로 가장 많았다.
음성스팸은 금융(투자 유도)과 불법대출 유형이 각각 0.61통, 통신가입 권유가 0.30통으로 나타났다.
이번 감소세는 지난해 11월부터 추진된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의 효과라는 게 방미통위와 KISA 측의 설명이다.
이 대책은 ▲불법스팸 부당이익 환수 ▲대량문자시장 정상화 ▲발송 차단 강화 ▲수신 차단 고도화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 5대 전략과 12개 세부과제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부적격 사업자의 대량문자시장 진입을 제한하고, 문제 사업자를 퇴출하기 위한 법령 개정을 추진 중이다.
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사도 문자 발신번호 위·변조 차단, 필터링 고도화, 신규 불법스패머 가입 제한 등의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방미통위와 KISA는 이번 조사 결과를 누리집에 공개하고, 이용자들이 문자·음성스팸을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영상 및 이미지 홍보 콘텐츠도 제작할 계획이다.
정부는 '전송자격인증제' 도입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과 불법스팸 범죄수익 환수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마련을 조속히 마무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