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K-푸드 플러스 수출이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하며 10월 말 기준 누적 수출액이 112억 달러를 넘어섰다.

라면·김치·이너뷰티 건강식품 등 한류 소비재가 해외 시장에서 지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 농식품이 글로벌 시장의 확실한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기준 K-푸드 플러스 누적 수출액이 112억 3,8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억 3,700만 달러)보다 5.7%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K-푸드+는 농식품(신선·가공식품)에 더해 농약·비료·종자·동물용 의약품 등 농산업 제품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가운데 농식품 수출은 85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동(GCC, +20.4%), 유럽연합(EU·영국 포함, +14.8%), 북미(+13.9%) 순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7~10월 동안 중동(23.5%)과 중화권(7.7%)의 수출이 빠르게 늘며, 미국 시장의 둔화(0.6%)를 상쇄했다.

품목별로는 라면·커피·김치가 여전히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면 수출은 5억 2,3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7% 늘었으며, 중국(54.4%↑), 미국(21.3%↑), 일본(24.0%↑) 등 주요국에서 고르게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매운 볶음면 등 K-스파이시 제품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되고, K-콘텐츠와 연계한 마케팅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조제품 기타(건강기능식품 등)는 2억 4,93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했다. 웰빙·이너뷰티 트렌드 확산에 따라 중국(17.7%)과 유럽(48.5%) 중심으로 수출이 급증했다.

커피조제품 역시 1억 3,030만 달러로, 21.3% 늘었으며, 고급 원두와 저당 제품이 수요를 견인했다.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 수출은 6.4% 증가한 5,410만 달러로, 일본(4.4%)을 비롯해 캐나다(17.6%), 대만(11.8%)에서 성장세가 이어졌다.

포도(50.9%↑)와 아이스크림(22.1%↑)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포도는 대만 수출용 '사전등록제(ID)' 정착으로 대만향 수출이 192.1% 급증(2,340만 달러)했다.

농산업 제품 수출은 같은 기간 26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7.8%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동물용 의약품(24.9%↑), 농약(16.0%↑), 비료(10.5%↑), 종자(9.9%↑)가 고르게 늘었다.

특히 동물약품은 유럽 내 중국산 대체 수요로 네덜란드(223.2%↑)·스페인(69.4%↑) 수출이 급증했다.

농약은 아시아권(베트남 43.1%↑, 인도네시아 148.5%↑)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됐으며, 비료는 국제가격 상승이 호재로 작용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우리 제품의 품질 경쟁력과 한류 마케팅 효과로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견조한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정부는 연말까지 물류·통관 지원과 글로벌 판촉을 강화해 올해 K-푸드+ 수출 목표 14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