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고강도 대책을 내놨지만, 내년(2026년) 상반기 주택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에서 응답자의 52%가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2021년 하반기(상승 전망 62%)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락 전망은 14%, 보합은 34%로 집계됐다.

상승 전망 응답자들이 꼽은 주요 요인으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약 35%)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약 12.6%),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약 10.9%), '정부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약 8.9%) 등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R114는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소비자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풀이했다.

반면, 하락 이유로는 '대출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가 가장 많이 선택됐고, '경기침체 가능성'(15.94%), '대출금리 부담'(10.63%) 등이 꼽혔다.

임대차 시장에서도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

전세가격 상승 응답은 57.75%, 하락 9.26%로 상승 응답이 하락 응답의 약 6.2배에 달했고, 월세 상승 응답은 60.91%, 하락 5.28%로 상승 응답이 하락의 약 11.5배로 집계됐다.

조사에서 전세 상승의 주된 이유로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 수요 증가'(34.8%)가 제시됐다.

이는 강화된 대출규제로 매수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세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난 데 따른 영향으로 해석된다.

전세 하락 전망의 이유로는 '전세대출 보증비율 하향 조정·갭투자 제한 등 정부 안정대책의 효과'(23.7%),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리스크'(역전세·20.7%), '전세대출 부담에 따른 월세 전환'(13.3%) 등이 제시됐다.

응답자들이 꼽은 내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핵심 변수는 '대출·세금 등 규제환경 변화 여부'(17.0%),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16.8%),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동결 및 인하 여부'(14.8%) 순이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책·금리·경기라는 세 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단기적 불확실성이 높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