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의료기기 개발에 속도를 낸다.

내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 원을 투입해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기기와 필수 의료기기의 국산화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의료기기 산업을 대한민국의 신성장 축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 원을 투입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사업에는 국비 8,383억 원, 민자 1,025억 원 등 총 9,408억 원이 투입되며,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저급' 의료기기 6건 개발,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 달성 등이 주요 목표다.

사업은 기초·원천 연구 → 제품화 → 임상 → 인허가에 이르는 전주기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AI, 로봇, 정밀의료 등 첨단기술 융합형 의료기기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이번 2기 사업은 2020년부터 시행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1기)'의 성과를 토대로 한다.

1기 사업에서는 총 467개 과제를 지원해 최근 5년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 해외 102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 등의 성과를 냈다.

특히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 국산화, 세계 최초 인공지능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등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 바 있다.

정부는 1기 사업의 성공이 단절되지 않도록 2기 사업을 통해 의료기기 R&D의 연속성과 산업화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 설명회를 열고, 사업 주요 내용과 내년도 신규과제 참여 방법 등을 안내했다.

설명회에는 의료기기 관련 산·학·연·병 연구자들이 참석했으며, 현장 질의응답과 의견수렴을 통해 사업 참여 활성화 방안이 논의됐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국가 성장동력인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전주기적으로 지원하는 범부처 협력 모델"이라며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의료기기 산업이 대한민국의 미래 산업 핵심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2기 사업은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의료기기 R&D에 AI·로봇 기술이 본격 투입됨으로써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핵심 부품 국산화, 글로벌 기술 자립의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의료데이터 기반의 혁신 생태계 확립, 의료기기 산업 일자리 창출,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