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미국 경제가 성장과 고용, 물가 사이의 미묘한 균형점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시장은 이달과 12월 연속 금리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 전미경제학회(NABE) 콘퍼런스에서 "경제는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와 생산성 개선을 보이고 있지만, 관세와 이민 제한의 영향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이 두 요인이 물가와 고용 모두에 상충된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연준의 다음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시점에 나왔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3.75~4.00% 범위로 조정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뿐만 아니라, 12월에도 같은 폭의 추가 인하를 점친다.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는 관세 제약 속에서도 AI 투자 확대에 힘입어 상반된 방향의 압력을 동시에 받고 있다"며 "정책 판단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 내부에서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우려하는 목소리와 고용 시장의 급속한 악화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최근 인터뷰에서 "일부 지표는 3분기 성장률이 4% 내외로 상향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민간 고용 관련 데이터는 약화를 시사한다"며 "두 흐름이 동시에 지속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용 방어를 위해 0.25%포인트 단위의 점진적 인하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연준은 앞서 9월 한 차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다만 최근 미국 정부의 셧다운으로 9월 공식 고용보고서 등 일부 핵심 통계가 지연되면서 정책 판단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민간 데이터와 연준 내부 추정치는 9월 실업률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는 신호를 주고 있지만 공식 통계의 공백은 정책 결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단순한 금리 인하 신호라기보다 '불확실성 속 정책 근거의 약화'에 대한 경고로 읽힌다.

이에 전문가들은 셧다운으로 인한 공식 통계 공백, 관세·이민정책의 실물영향, 그리고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변화 등을 향후 연준의 속도와 폭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지목하고 있다.

또한 연준이 속도 조절형 완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공식 통계 재개 시점에 맞춰 정책방향을 재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