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했다.
지난 7월 전망치(0.8%)보다 0.1%포인트 높인 수치로,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각각 0.9%)과 동일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14일(현지시간)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WEO)'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9%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달 24일 IMF가 한국 연례협의 결과에서 내놓은 수치와도 같다.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7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회원국 전체의 경제전망을 내놓고,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의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
기재부는 "IMF가 내년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고 본 것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한편,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 무역 불확실성 ▲ 이민 제한에 따른 생산성 저하 ▲ 재정·금융시장 불안 ▲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의 재평가 가능성 등을 꼽았다.
다만, IMF는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실현될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