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매시장의 최대 성수기인 연말을 앞두고 중소 리테일 업체들이 재고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제품 관세 정책이 잇따라 뒤바뀌면서 중소 브랜드들이 생산지 변경과 비용 부담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 유통업체들이 규모의 힘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과 달리, 중소업체들은 재고 부족과 비용 급등 위험에 직면하며 '홀리데이 시즌 대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뉴욕의 수면 웰니스 브랜드 로프티(Loftie)가 그 대표적 사례다.

연말 특수를 앞두고 주문량이 급증하는 시점이지만, 중국에서 생산하는 기상알람·조명 제품에 대한 관세 변동이 이어지면서 원활한 재고 확보가 어려워졌다.

맷 해싯 로프티 대표는 "현재 필요한 물량의 10% 수준만 남아 있다"며 "재고를 확보하려 이동할 공장을 물색했지만 비용이 더 높아져 결국 기존 중국 공급망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올 4월 중국산 제품에 최고 18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가 이후 이를 20%로 낮추는 등 관세 정책이 '롤러코스터'를 타자, 중소 업체들은 대체 생산지를 찾았다가도 다시 철회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로프티 역시 태국 생산 전환을 검토했지만, 단가가 20% 이상 높아 오히려 손해를 보는 구조가 됐다.

여행가방 브랜드 로앤선스(Lo & Sons) 역시 올해 4~6월 사이 인도·캄보디아 등 최대 8곳의 공장을 검토했지만, 결국 중국 생산으로 되돌아왔다.

데릭 로 대표는 "관세 불확실성 때문에 발주를 제때 넣지 못했다"며 "결국 재고가 최적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관세 충격이 주로 중소 유통업체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월마트·코스트코 등 대형 유통사는 자본력과 물류 역량을 바탕으로 공급 차질을 흡수할 수 있지만, 중소업체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분석업체 래피드레이팅스(RapidRatings)에 따르면, 자산 5,000만 달러 미만의 중소 소매업체 영업이익률은 최근 –20% 수준까지 추락했다.

파산 위험이 높은 기업 비중도 대형 업체 12%에 비해 세 배 수준인 36%에 달한다.

일부 업체는 관세 비용 급등을 견디지 못해 인력을 줄이거나 판매 제품 수를 축소하는 등 긴축에 돌입했다.

미국 중소 소매업계는 성수기 대응력을 좌우할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내년까지도 공급망 혼란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