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디지털 전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중소기업·소상공인의 AI 활용 능력을 전면적으로 끌어올리는 4대 전략을 발표했다.

혁신 스타트업 육성부터 스마트 제조 고도화, 소상공인 대상 AI 교육 확대까지 전 산업 현장에 AI 도입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열린 첫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장관회의에서 '중소기업 AI 활용·확산 지원방안'을 공식 상정하고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방안은 '국가 AX(Anything eXperience) 대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및 국방 AX 전략 등과 함께 중점 논의됐다.

중기부는 글로벌 100대 AI 스타트업 중 한국 기업이 한 곳도 없는 현실과 함께 대기업·중소기업 간 AI 활용률 격차(대기업 48.8% vs 중소기업 28.7%), 수도권·비수도권 간 활용 격차(40.4% vs 17.9%)를 시급히 해소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산업 전반의 AI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뒤처질 경우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기존 정책을 통합해 혁신 AI·딥테크 스타트업 육성, AI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중소·소상공인 AI 활용·확산, AI 활용 기반 구축 등 4대 추진전략을 새롭게 마련했다.

우선 혁신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해 성장 단계별 투자를 집중하고, 국내 스타트업과 구글·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간 협업을 확대한다.

제조업의 K-강점을 활용한 '버티컬 AI' 전략도 병행해 중소 제조기업에 맞춤형 AI 솔루션 도입을 지원하고,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을 육성한다.

제조업 특화 AX 플랫폼 '제조AI24'도 구축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지원 강화도 핵심이다.

AI 활용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네이버·카카오·뤼튼 등 국내 주요 AI 기업이 직접 참여한 교육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지자체 기획–정부 지원 모델을 도입해 지역 단위 AX 확산을 촉진한다.

중기부는 AI 리터러시 교육, 경영 분야 AI 상담 등 지원 체계도 강화하는 한편, 학습데이터 활용과 규제 개선, AI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등을 포함한 ‘중소기업 AI 활용 촉진법’ 제정을 추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AI를 활용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밀려나는 시대"라며 "이번 지원방안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