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투자와 수출에 의존해온 기존 성장 모델에서 벗어나, 향후 5년간 소비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중 무역 갈등으로 투자 여력이 제한되고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자, 중국 정부가 가계 소비 확대를 중심축으로 한 새로운 성장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재정지출 중 공공서비스 비중을 합리적으로 높여 가계의 소비 여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6~2030년 제15차 5개년 계획 초안에는 '소비의 GDP 비중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가 명시될 예정이다.

현재 중국의 가계 소비는 GDP의 약 40% 수준으로, 미국(약 70%)에 크게 못 미친다.

중국 당국은 향후 5년간 소비 비중을 5%포인트 이상 끌어올리고, 장기적으로는 50%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득 재분배 개혁과 사회복지 확대, 중앙정부의 가계 지출 지원 강화가 추진된다.

다만 소비 중심 구조로의 전환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부동산 부진으로 가계 자산이 감소하고, 사회안전망 미비로 소비심리가 여전히 위축돼 있기 때문이다.

ANZ와 씨티 등 글로벌 금융기관은 "핵심은 자원 재분배이며, 정부와 기업 투자 중심의 자금 흐름이 가계로 이동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은 소비 확대와 동시에 제조업의 '합리적 비중 유지'를 강조했다.

특히 AI, 신에너지, 항공우주, 첨단소재 등 미래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첨단 제조 중심의 내수형 경제'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시진핑 주석은 "내수 기반 강화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소비 중심 전환은 단기 부양책이 아닌 구조개혁의 성격을 띠며, AI와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산업과 소비를 연결하는 새로운 성장 모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