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년보다 긴 추석 연휴의 영향 등으로 10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한국 수출이 감소세를 기록했다.
다만,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한 일평균 수출액은 큰 폭으로 증가해 실질적인 수출 활력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액은 301억 5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억 7000만 달러(-7.8%) 감소했다.
이는 이 기간 조업일수가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은 10.5일이었던 것이 주요 원인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8억 7000만 달러로, 전년(26억 2000만 달러) 대비 9.7% 증가하며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국가별 수출 실적에서는 대미 수출이 24.7% 급감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조업일수 감소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최근 미국의 관세 장벽 강화 충격이 본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주요 수출국 중에서는 베트남(-10.0%)과 중국(-9.2%)으로의 수출도 감소했다.
반면, 대만(58.1%), 홍콩(4.9%), 싱가포르(5.3%)로의 수출은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선박(11.7%) 등은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승용차(-25.0%)와 무선통신기기(-17.7%) 등은 감소했다.
이 기간 수입액은 330억 달러로 작년보다 7억 7000만 달러(-2.3%) 감소했다.
수입 품목별로는 원유(12.6%), 반도체(0.8%), 승용차(41.7%) 수입이 늘었고, 가스(-35.0%)와 기계류(-2.3%) 수입은 줄었다.
국가별 수입은 미국(2.3%), 호주(30.7%), 대만(16.2%), 베트남(9.1%) 등에서 증가했고, 중국(-11.6%)과 유럽연합(-2.3%)에서는 감소했다.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더 많아지면서,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