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국내 자동차 산업이 수출·내수·생산 3대 지표 모두 전년동월 대비 증가하며 3개월 연속 '트리플 호조'를 이어갔다.
'트럼프 관세' 여파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이 7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유럽연합(EU)과 아시아 지역 수출이 급증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도 완화되며 수출과 내수 모두 회복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9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64억 1000만 달러(전년동월 대비 +16.8%)로, 역대 9월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에는 추석 연휴가 겹쳤지만 올해는 10월로 이동하며 조업일수가 늘어난 기저효과도 일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 역시 541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올해 자동차 수출 호조세가 뚜렷하게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향 수출액은 23억 8000만 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7.5% 감소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으로
대미 수출은 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감소 폭은 △3월 -10.8% △4월 -19.6% △5월 -27.1% △6월 -16.0% △7월 -4.6% △8월 -15.2% △9월 -7.5% 등으로 점차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뚜렷한 회복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EU 수출은 9억 6000만 달러로 52.8%, 기타 유럽은 7억 2000만 달러로 81.2%, 아시아는 8억 2000만 달러로 62.3%, 중남미는 3억 1000만 달러로 36.4% 각각 급증하며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다만 중동 지역 수출은 3억 8000만 달러로 10.1% 감소, 이스라엘·이란 간 전쟁 여파로 이스라엘 신차 수출이 위축된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9월 친환경차 수출은 9만496대(전년동월 대비 +47.5%)로 9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전기차 수출은 2만9,288대(+38.9%)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하며 전기차 시장의 ‘캐즘(Chasm)’ 국면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5만7,824대(+55.7%),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3,384대(+8.6%)로 모두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9월 국내 자동차 내수판매량은 15만7,898대(전년동월 대비 +20.8%)로, 2023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 중 친환경차 내수판매량은 8만3,236대(+40.5%)로 전체 내수 확대를 주도했으며, 하이브리드차(5만1,973대)는 13.5%, 전기차(2만8,760대)는 134.8% 급증하며 역대 월간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33만4,319대(+8.9%)로, 수출·내수 호조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누적 생산량은 300만 대를 돌파했으며, 현 추세라면 3년 연속 '400만 대 클럽' 진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로 미국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유럽과 아시아 등에서의 수출 다변화가 효과를 내고 있다"며 "전기차 수출 회복세와 내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도 완성차 산업의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