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앤서니 알바니지 호주 총리는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희토류·리튬 등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 협정에 서명했다.

양국은 향후 6개월간 각각 10억 달러를 광산 개발과 정제·처리 프로젝트에 투자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 중심의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적 목표를 분명히 했다.

이번 합의는 총액 약 85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준비해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합의문에는 광물 생산·정제 가속화, 지질자원 공동 조사, 재활용 확대, 광산 인허가 절차의 간소화, 그리고 '최저가격선' 설정 같은 시장 안정화 장치가 포함됐다.

미국 수출입은행(EXIM)은 이번 협정과 연계해 호주 내 핵심광물 프로젝트 7곳에 대해 총 22억 달러가 넘는 의향서를 발급했다.

지원 대상에는 아라푸라 레어어스(Arafura Rare Earths), 노던 미네랄스(Northern Minerals), 라트로브 마그네슘(Latrobe Magnesium) 등 호주 채굴·가공업체들이 포함됐다.

EXIM 측은 이들 프로젝트가 방산·항공우주·첨단통신 장비 등에 필요한 원자재 공급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 국방부는 중국의 갈륨 수출 통제에 대응하기 위해 서호주에 갈륨 정제시설 건설을 계획 중이라고 발표했다.

갈륨은 반도체 제조 등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소재로, 지난해 중국의 수출 제한이 미국 측 공급망에 충격을 준 바 있다. 이번 시설은 전략적 자원 공급망 복원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직후 기자들에게 "1년 안에 우리가 희토류와 핵심광물을 충분히 확보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이번 협정은 기술·방위 산업을 생산기반으로 되돌리려는 미국의 산업정책과, 자원 부국인 호주의 경제적 기회가 결합한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이 오랜 기간 축적한 가공·정제 역량을 단기간에 대체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공급망 다변화는 수십 년 단위의 전략이며, 인허가·환경 규제·기술 확보 등 현지 리스크도 상존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