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공사 현장에서 잇따라 사망사고가 발생하면서 건설업계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가 도마에 올랐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대우건설이 시공을 맡은 경기 시흥시 정왕동 거북섬 내 '푸르지오 디오션'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50대 하청업체 근로자 A씨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A씨는 옥상(26층)에서 대형 크레인을 이용해 철제 계단을 설치하던 중 계단 한쪽이 이탈하며 머리를 가격 당해 사망했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 진술을 토대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책임자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할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현장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번 사고는 불과 닷새 전 발생한 또 다른 사망사고와 맞물려 우려를 키운다.
지난 4일 울산 북항터미널 공사 현장에서는 대우건설 소속 근로자가 바닥 청소 작업 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 건설사의 건설 현장 사고 사상자는 1,868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대우건설은 사망자가 7명으로 가장 많았다.
업계에서는 반복되는 대형 사고의 배경으로 원청의 안전관리 부실과 하청업체 노동자에 대한 안전 취약성을 지적한다.
특히 위험 작업이 하청 인력에 집중되는 구조적 문제, 저가 하도급과 공기 단축 압박 등이 근본 원인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우건설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대표이사 명의의 사과문을 내고 전국 105개 현장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
회사 측은 "고인과 유가족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관계 기관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전사적 안전관리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서는 대우건설이 매번 '재발 방지'를 약속해왔음에도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일시적 조치가 아닌 근본적인 안전문화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