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상수지가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에 힘입어 27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다만 흑자 규모는 전월보다 줄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7억 8000만 달러(약 15조 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6월(142억 7000만 달러)보다는 감소했지만, 7월 기준 역대 최대이자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연속 흑자 기록이다.

올해 1∼7월 누적 흑자도 601억 5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7월 상품수지 흑자는 102억 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월(131억 6000만 달러)보다 축소됐으나, 지난해 같은 달(85억 2000만 달러)보다는 늘어난 수치다.

수출액은 597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했으나, 전월보다는 1.0% 줄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30.6%), 승용차(6.3%) 수출이 증가한 반면, 컴퓨터 주변기기(-17.0%), 의약품(-11.4%)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7.2%), 유럽연합(EU·8.7%), 미국(1.5%)에서 호조를 보였지만, 중국(-3.0%)과 일본(-4.7%)은 부진했다.

수입은 495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0.9% 감소했지만, 6월보다는 4.9% 증가했다.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 물량이 늘어난 영향이다.

원자재 수입은 줄었으나, 반도체 제조장비(27.7%), 정보통신기기(12.6%) 등 자본재 수입이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21억 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전월(-25억 3000만 달러)과 전년 동월(-23억 9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줄었다.

여행수지 적자도 여름철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완화됐다.

본원소득수지는 29억 5000만 달러 흑자를 냈으나, 배당소득 감소로 전월(41억 6000만 달러)보다는 줄었다.

7월 금융계정 순자산은 110억 8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 직접투자는 34억 1000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도 17억 2000만 달러 확대됐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101억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 중심으로 76억 4000만 달러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