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고위험 부동산 대출을 줄이고, 서민·중저신용자 및 소상공인 중심의 자금 공급에 집중할 것을 강력히 당부했다.

이 원장은 4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건전성 악화의 원인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은 금융소비자 고려보다 단기 수익성에 치중한 결과"라고 지적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 연체율이 하락세로 전환된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 각 은행이 자체 부실 정리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과 자본 확충을 통해 손실 흡수 능력을 확보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이번 지침이 영업규제 완화 요구와 연결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하며, "건전성 우려가 해소되면 탄력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며, 금융상품 설계·판매, 내부통제, 리스크 관리 등 모든 업무에서 소비자 보호를 고려하도록 했다.

특히 2금융권 이용자가 금융 취약계층인 만큼 채무조정요청권, 금리인하요구권 등 제도를 적극 안내할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보이스피싱, 불법 계좌개설 등 금융 범죄와 사고 방지를 위해 내부통제 강화도 지시했다.

이 원장은 "1금융권 내부통제가 강화될수록 2금융권 이용자 대상 금융 범죄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으로 거래금액이 커지면서 고객 피해도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