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에서 3875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부당대출이 적발됐다.
금융감독원은 4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를 발표했다.
은행별 부당대출 규모는 우리은행에서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730억 원을 비롯해 101건·2334억 원, KB국민은행에서 291건· 892억 원, NH농협은행에서는 90건· 649억 원에 달하는 부당대출을 대거 적발됐다.
우리은행에서는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적발 규모가 지난해 금감원 검사 때의 2배로 늘어났다.
또 전현직 고위 임직원의 단기성과 등을 위한 부당대출도 추가로 확인되면서 전체 부당대출 규모가 2334억 원으로 7배 가까이로 불어났다.
이에 더해 전현직 본부장과 지점장 등이 단기성과 등을 위해 사업목적과 무관한 기업대출을 승인하거나, 투자자 날인이 없는 투자계약서 등 서류의 진위를 확인하지 않고 대출을 내주거나, 법인대표가 대출 후 잠적하고, 법인이 폐업했는데도 해당 대출을 정상대출로 분류하는 등의 부당대출 1604억 원이 추가로 적발됐다.
KB국민은행에서는 영업점에서 팀장이 시행사·브로커의 작업대출을 도와 허위 매매계약서 등을 기반으로 대출이 가능한 허위 차주를 선별하고, 대출이 쉬운 업종으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등으로 부당대출 892억 원을 해줬다.
NH농협은행에서는 영업점에서 지점장과 팀장이 브로커·차주와 공모해 허위 매매계약서를 근거로 감정평가액을 부풀리거나 여신한도·전결기준 회피를 위해 복수의 허위 차주 명의로 분할해 승인받는 등의 방법으로 부당대출 649억 원을 해준 게 적발됐다.
금감원은 거액 부당대출 관련 범죄 혐의를 수사당국에 통보했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 결과 확인된 법규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무관용의 원칙에 따라 엄정 제재하는 한편, 모든 금융지주·은행에 자체 점검 계획을 제출받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