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잠정)이 지난해보다 7.1% 증가한 66.7억 달러를 달성했다.
K-푸드 플러스는 농식품(신선, 가공)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 포괄하는 개념이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농식품(K-Food) 수출액은 51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가공식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라면·소스류·아이스크림이 수출 확대를 주도했다.
라면 수출은 24.0% 증가했으며, 중국(1억 6130만 달러, 41.7%↑), 미국(1억 4090만 달러, 40.8%↑), 아세안(1억 710만 달러, 12.2%↑), CIS(3900만 달러, 54.5%↑), GCC(2430만 달러, 39.5%↑) 등지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소스류 수출은 18.4% 증가했고, 일본(3970만 달러, 128.5%↑), 중국(3060만 달러, 27.0%↑), 미국(5080만 달러, 13.4%↑)에서 특히 큰 폭으로 늘었다. 고추장, 쌈장, 불고기 소스 등 한식 기반 제품에 대한 인기가 확산된 것으로 분석된다.
아이스크림은 수출 실적인 가장 큰 미국(2490만 달러, 22.8%↑)에서 대형 유통매장 판매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1% 증가했다.
유제품 수출이 어려운 캐나다(480만 달러, 84.9%↑) 등 지역에서는 식물성 아이스크림으로의 대체를 통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2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신선식품 부문에서는 닭고기(7.9%↑)와 유자(5.5%↑)가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였다.
닭고기의 경우, 베트남 검역 강화에도 불구하고 신선 가금육 수출이 7.6% 증가했으며, 삼계탕·냉동치킨 수요 확대에 힘입어 미국(390만 달러, 15.1%↑)과 EU(60만 달러, 1019.4%↑) 수출도 크게 늘었다.
특히 EU와 영국으로의 수출액은 전년도 전체 실적의 두 배를 이미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는 한국산 유자차에 대한 건강 효능 인식 확산으로 미국(1030만 달러, 62.3%↑), EU(150만 달러, 39.3%↑), 일본(170만 달러, 6.9%)에서 수요가 증가했다. 미국 대형 유통매장 입점과 일본 내 다양한 패키지 제품 출시가 주요 요인이다.
상반기 농산업 수출은 15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동물용의약품(1억 6720만 달러, 51%↑), 농약(4억 9020만 달러, 22.4%↑), 종자(2730만 달러, 14.1%↑), 비료(2억 2210만 달러, 6.8%↑) 등이 수출을 이끌었다.
동물용의약품은 5월 말까지 51.0% 성장한 1억 672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으며, 라이신(8220만 달러, 160.0%↑), 화학제제(2740만 달러, 27.7%↑), 의료기기(2640만 달러, 14.4%↑) 품목에서 수출이 늘며 동물용의약품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라이신(동물용 영양제)은 유럽에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60.0% 증가했으며, 화학제제는 브라질, 동남아 지역에서, 의료기기는 미국, 유럽 지역에서 수요가 증가했다.
농약 수출은 중국(7930만 달러, 63.0%↑), 베트남(8840만 달러, 60.3%↑), 브라질(8860만 달러, 1.2%↑) 중심으로 증가해 전년대비 22.4% 증가한 4억 9020만 달러를 기록했다.
종자는 미국 시장에서 96.9% 증가하며 총 2730만 달러, 비료는 동남아 중심 고품질 마케팅이 효과를 보이며 2억 2210만 달러 수출을 달성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미 상호관세, 환율 등 녹록하지 않은 글로벌 무역 환경 속에서도 올해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수출기업과 정부가 민관 원팀으로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반기 견조한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실적을 발판으로 삼아 연말까지 140억 달러 수출 목표가 달성되도록 수출기업의 상품 개발, 해외 온․오프라인 판촉, 관세/비관세장벽 등 컨설팅, 환율․물류 등 수출 리스크 대응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