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최대 1조 달러(약 1,400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보상안을 승인했다.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기업 보수 패키지로, 테슬라가 단순한 전기차 제조사를 넘어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중심 기업으로 변모하겠다는 머스크의 비전에 주주들이 힘을 실어준 셈이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텍사스 오스틴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머스크 CEO의 보상안을 약 75%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해당 안건은 테슬라가 델라웨어주에서 텍사스로 본사를 이전한 뒤 재상정된 것으로, 법적 분쟁으로 보류됐던 과거 보상안의 대체안 성격이다.
이번 보상안은 테슬라의 향후 10년간 경영성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주식이 지급되는 성과형 구조다.
머스크는 테슬라의 기업가치를 현재 약 1조 5,000억 달러에서 8조 5,000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2,000만 대의 차량 생산, 100만 대의 로보택시 운영, 100만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 등의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목표 달성 단계마다 1%씩 주식이 부여되며, 최대 달성 시 보상의 총 가치는 1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
머스크는 이날 주총에서 "오늘은 테슬라의 새로운 장이 아니라 새로운 책의 시작"이라며 "AI와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인류의 미래를 재정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번 보상 규모가 과도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의결권 자문사인 ISS, 글래스루이스 등이 반대표를 던지며 "지분 희석과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머스크의 15% 지분과 강력한 개인 영향력이 압도적인 찬성 결과를 이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서는 이번 보상안 통과가 테슬라 주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실제로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주총 결과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머스크의 비전이 다시 한 번 주주들로부터 확인된 만큼, 단기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테슬라 주가가 심리적 지지선을 회복할 가능성이 크다"며 "AI·로보틱스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밸류에이션(기업가치) 재평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주총에서는 테슬라가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에 투자하는 안건도 함께 통과됐다.
증권가에서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과 xAI의 AI 연구가 결합되면 기술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