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대규모 해고는 여전히 제한적이지만,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채용 위축으로 고용시장 완만한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주요 투자은행(IB)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계절조정 기준 23만2000건으로 추정됐다.
전주(22만건)보다 다소 증가했으며, 시티그룹과 네이션와이드가 이 같은 수치를 제시했다. 골드만삭스는 22만7000건, JP모건은 22만9000건으로 예상했다.
미 노동부는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공식 통계를 공개하지 못하고 있으나, 각 주 정부가 제출한 원자료와 기존 계절조정 요인을 바탕으로 민간 부문이 추정치를 내놓은 것이다.
IB들은 셧다운 이전부터 완만한 고용 둔화 조짐이 나타났으며, 이번 수치 역시 해고 급증보다는 채용 부진이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오렌 클라크킨 네이션와이드 이코노미스트는 "주별 청구 데이터를 보면 노동시장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대규모 해고가 촉발될 위험 신호는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다만 연방정부 공무원들의 청구 건수는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퇴직 보상금 수령을 조건으로 조기 퇴출된 15만명 이상의 연방직원이 실업수당을 신청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이들은 추후 체불임금이 지급되면 해당 급여를 반환해야 한다.
한편, 계속 수당 청구자는 지난 11일(현지시간) 기준 194만2000명으로 전주 192만8000명에서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구직활동이 길어지고 신규 일자리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업률도 8월 기준 4.3%로 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젤라 영 시티그룹 이코노미스트는 "예년이라면 10월은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고용이 늘어나는 시기지만, 올해는 채용수요가 다소 위축된 모습"이라며 "기업들이 인건비와 경기 불확실성을 이유로 고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노동시장 완화 조짐을 고려해 다음 주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