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오는 8월 1일부터 미국의 관세가 대폭 인상된다고 통보하면서 올해 초 시작된 무역전쟁이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기준 미국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세르비아, 태국, 튀니지 등 총 14개국에 공식 서한을 보낸 상태다.
서한에는 추가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뉘앙스를 담으면서도, 보복 조치가 있을 경우 동일한 수준의 대응을 하겠다는 경고도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한국에 보낸 서한에서 "만약 귀국이 관세를 인상한다면, 그 인상분만큼을 우리가 부과하는 25% 관세에 추가하겠다"고 밝히며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해당 서한은 트럼프의 '트루스 소셜' 플랫폼에 공개됐다.
이번에 적용되는 관세는 기존의 자동차나 철강·알루미늄 등 특정 산업에 부과되던 관세와는 별도로 부과된다.
예를 들어,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기존의 25%가 유지되며, 이번 인상분이 중복 적용되어 50%로 오르지는 않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전쟁을 선언한 이후, 각국이 미국과 협상에 나설 수 있도록 시한을 설정해 왔다.
시장 불안과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는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협상 마감 시한을 기존의 9일에서 8월 1일로 연장했다.
현재까지 영국과 베트남만이 미국과 협정에 도달했으며, 나머지 국가는 아직 타결에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는 각국과의 협상 결과에 대해 함구하면서 관세 인상 여부를 예측 불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치에 따라 한국에 부과될 관세율은 기존 예고 수준인 25%이며, 일본은 4월 2일 처음 발표된 관세율보다 1%포인트 높은 25%가 적용된다.
트럼프는 일주일 후 해당 관세율을 10%로 상한 설정했지만, 이제 그 상한선도 해제된 셈이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1일부터의 25% 관세 적용은 사실상 협상 유예 기간을 연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남은 기간 동안 협상을 가속화해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튀니지,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에 25%, 남아공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 30%, 인도네시아에 32%, 세르비아와 방글라데시에 35%, 캄보디아와 태국에 36%, 라오스와 미얀마에는 40%의 관세를 각각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앞으로 48시간 안에 여러 건의 무역 발표가 있을 것"이라며 "각국의 최후 제안이 쇄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럽연합(EU)은 이번 고율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EU는 포괄적 무역협정 체결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고 보고, 빠르고 간단한 무역협정을 통해 국면을 정리할지 여부를 두고 내부 논의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는 또 브라질에서 회의를 진행 중인 BRICS(브릭스) 개발도상국 그룹에 대해 '반미 정책'을 채택할 경우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