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22일(현지시간) 미국-중국 무역 갈등 재연 우려와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의 엇갈린 실적 여파로 하락 마감했다.

특히 미 행정부의 대(對)중국 수출 규제 검토 소식에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면서 나스닥 지수의 낙폭이 가장 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4.33포인트(0.71%) 내린 46,590.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5.95포인트(0.53%) 하락한 6,699.40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213.27포인트(0.93%) 떨어진 22,740.40을 기록했다.

이날 시장은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만든 중국 수출 제품에 대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노트북부터 제트 엔진까지 폭넓은 품목이 규제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소식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되며 미·중 간 무역 긴장감을 한층 고조시켰다.

이 보도 이후 3대 주요 지수는 일제히 하락 폭을 확대했으며, 기술 및 통신 서비스 섹터의 약세가 두드러지면서 나스닥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종목별로는 넷플릭스가 분기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주가가 10.1% 급락했다. 이는 스트리밍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 우려를 키웠다.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도 예상보다 부진한 4분기 매출 및 이익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5.6% 하락했다.

이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에서 2.4% 떨어졌다.

반면, '매그니피센트 7' 중 첫 주자로 3분기 실적을 발표한 테슬라는 세금 공제 만료를 앞둔 판매 호조로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을 올렸으나, 시간외 거래에서는 0.5% 소폭 하락했다.

의료기기 업체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3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13.9% 급등했다.

AT&T는 예상치를 웃도는 무선 가입자를 유치했음에도 1.9% 하락 마감했다.

현재까지 3분기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 중 86%가 월스트리트의 예상을 웃돌아 전체적으로는 양호한 실적 시즌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S&P 500 기업들의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9.3%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