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지난 8월 한 달간 0.4% 상승해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을 기록했다.

12개월 누적으로는 2.9% 올라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근원(식품·에너지 제외) 지수도 월간 0.3% 상승해 전년 대비 3.1%를 기록했다.

이러한 물가 상승은 주거비와 식료품 가격의 오름세가 주된 원인으로 파악됐다.

세부 항목을 보면 주거비가 월간 0.4% 상승해 전체 CPI 상승을 견인했고, 식품 지수는 0.5% 올랐다.

식료품 중 과일·채소는 한 달 새 1.6% 상승했으며 토마토가 4.5% 급등했고, 사과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육류·가금·어류·계란 지수는 1.0% 상승했으며, 쇠고기 가격은 한 달에 2.7% 올랐다.

휘발유는 한 달간 1.9% 상승했다.

또한 항공 운임이 큰 폭으로 오르는 등 서비스 물가도 일부 상승 압력을 나타냈다.

이와 대조적으로 노동시장 지표는 약화 신호를 보였다.

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마감 주간의 계절조정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6만 3,000건으로, 전주보다 2만 7,000건 증가해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텍사스에서 비조정(미수정) 신청이 1만 5,304건 급증한 점이 통계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7월 홍수로 연장된 재난실업보조(DUA) 신청이 일반 실업수당으로 잘못 접수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또한 정부가 발표한 예비 벤치마크 수정안에 따르면, 2024년 4월~2025년 3월 기간의 비농업 부문 고용은 종전보다 약 91만 1,000명 적게 집계될 가능성이 제기돼, 노동시장의 기초 체력이 당초 생각보다 약했음이 드러났다.

이 같은 고용 통계 수정 가능성은 연준의 통화정책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지목된다.

시장 반응은 연준의 9월 금리인하(0.25%포인트)를 거의 확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물가가 다시 상승하는 모습과 노동시장 약화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는 장기적 목표와 경기 둔화 완화를 위한 금리 인하 사이에서 연준의 정책 선택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많다.

전문가들은 관세(수입 관세)와 공급측 요인이 당분간 물가 상승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관세로 인한 비용 전가가 재고 소진과 맞물려 품목별 물가 상승을 촉발했다고 보며, 반면 서비스 부문으로의 전이(스필오버)는 노동시장 약화와 소비자 수요 둔화가 일부 제약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