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구리 수입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차, 군수 장비, 전력망, 각종 소비재에 필수적인 금속인 구리의 국내 생산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 중 기자들에게 "구리에 대한 관세는 50%로 정할 것"이라며 당일 중 공식 발표하겠다고 밝혔지만, 관세 시행 시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CNBC 인터뷰에서 해당 관세가 7월 말에서 8월 1일 사이에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세부 내용을 게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이날 저녁 기준 트럼프는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 않은 상태다.

구리는 건설, 운송, 전자 등 다양한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되는데, 미국은 매년 필요 구리의 약 절반을 수입에 의존하며, 자국 내에는 제련소가 단 3곳만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내 주요 구리 광산 개발 프로젝트는 환경 문제 등을 이유로 강한 반대에 부딪혀 왔다.

대표적으로 리오틴토(Rio Tinto)와 BHP가 추진 중인 애리조나 레졸루션 프로젝트와, 노던 다이너스티(Northern Dynasty Minerals)의 알래스카 페블 마인 프로젝트 등이 있다.

한편, 관세가 실제로 시행될 경우, 구리 가격과 관련 기업 주식에 단기적인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트럼프 발표 이후 미국 구리 선물(Comex)은 12% 이상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계 예상보다 빠른 시점에 발표가 나왔고, 관세율도 시장 전망보다 훨씬 높았다.

세계 최대 구리 생산업체인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McMoRan)의 주가는 이날 장중 한때 5% 이상 급등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미국 내에서 약 12억 6천만 파운드(57만1530톤)의 구리를 생산했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칠레, 캐나다, 멕시코는 지난해 미국에 정제 구리, 구리 합금, 구리 제품 등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들로, 이번 관세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소 뱅크의 상품 전략 책임자인 올레 한센은 "미국은 자체 수요를 충족하기까지 몇 년이 걸릴 것이므로, 관세는 구리를 사용하는 미국 기업들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지난 6개월 동안 1년치 수요량에 해당하는 구리를 이미 수입해 재고는 충분한 상태"라며 "초기 급등 이후 구리 가격은 조정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