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의회가 중동 에너지 수송의 핵심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를 공식 의결하면서, 국제 유가 급등과 글로벌 에너지 안보 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 대한 보복 성격으로 해석된다. 앞서 전날 미국은 작전명 '한밤의 해머'를 통해 이란의 핵 시설을 타격했다.

이란 국영방송은 22일(현지시각) "이란 의회 국가안보위원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안을 가결했으며, 현재 최고국가안보회의(SNSC)의 최종 결정만 남겨둔 상태"라고 밝혔다.

에스마일 쿠사리 이란 의회 국가안보위원장은 "최종 결정 권한은 최고국가안보회의에 있다"며, "해협 봉쇄 실행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원유 및 LNG 운송의 핵심 경로다. 전 세계 원유 소비량의 약 25%,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량의 20%가 이 해협을 통과한다.

이란,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 걸프 산유국들의 수출 대부분이 이 경로를 거치며, 해협의 봉쇄는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

미국 CNN과 뉴욕포스트 등 주요 외신은 이번 결정을 두고 "실제 해협이 봉쇄된다면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세계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AP통신도 "호르무즈 해협이 막히면 세계 원유 수송량의 약 20%가 차질을 빚게 되어 에너지 시장과 국제 안보에 심대한 파장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실질적 전면 봉쇄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도 있다.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도 양측이 상대 선박을 공격하며 긴장을 고조시켰으나, 실제 해협이 완전히 봉쇄되지는 않았다는 점을 들어, 이번 조치도 단기적 압박 수단에 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