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22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유료 승객을 태우는 자율주행 택시(로보택시)를 소규모로 배치하며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자신의 SNS 플랫폼 X를 통해 로보택시 출시를 알렸고, 여러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은 첫 탑승 영상들을 올리며 현장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번 시범 운행은 테슬라 차량이 처음으로 운전자가 없이 유료 승객을 태운 역사적인 순간으로, 머스크는 이를 전기차 회사 테슬라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사업으로 보고 있다.
그는 "10년간의 노력의 결실"이라며 "AI 칩과 소프트웨어 팀을 테슬라 내부에서 처음부터 직접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스틴의 사우스 콩그레스(South Congress) 지역에서 운전석에 아무도 없는 테슬라 차량이 목격됐고, 조수석에는 승객 한 명만 탑승해 있었다.
테슬라는 약 10대의 차량으로 소규모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앞좌석 탑승자가 '안전 감시자'(safety monitor) 역할을 하도록 했다.
테슬라는 최근 며칠 간 소수의 인플루언서에게 초청장을 보내, 제한된 구역에서 철저히 통제된 조건으로 로보택시를 시승하도록 했다.
일론 머스크는 X를 통해 이번 탑승 요금은 단일 요금제인 4.20달러라고 밝혔다.
테슬라 투자자이자 SNS 인플루언서인 소여 메릿(Sawyer Merritt)은 이날 테슬라 로보택시 앱으로 차량을 호출해 인근 바와 레스토랑까지 이동하는 과정을 담은 영상을 공유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스틴에서의 시범 운행이 성공하더라도, 머스크의 빠른 사업 확장 약속이 현실화되기까지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고 지적한다.
카네기멜런대학 필립 쿱먼 교수는 "오스틴 시범이 성공하더라도, 이는 시작의 끝이지 끝의 시작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번 로보택시 시범은 머스크가 10년 넘게 약속해온 자율주행차 실현을 위한 첫 실전이기도 하다.
그는 오스틴 내에서 제한된 구역에서만 운행하며, 날씨가 나쁘거나 교차로가 복잡한 지역은 피하고, 만 18세 미만은 탑승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높은 비용과 위험성이 수반되는 사업이다. GM의 자회사 크루즈(Cruise)는 심각한 사고 후 운영이 중단됐고, 테슬라와 경쟁하는 웨이모(Waymo), 아마존의 주룩스(Zoox)도 규제당국의 면밀한 감시를 받고 있다.
또한, 테슬라는 자율주행 구현 방식에서도 업계 관행을 따르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라이다(LiDAR), 레이더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테슬라는 오직 카메라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비용 절감을 시도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 방식이 더 안전하고 경제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