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5월 수출 증가율이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의 고율 관세가 수출을 강타하며 공장 출하물가(생산자물가지수) 하락도 최근 2년 내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됐다.

이는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이 대외적으로는 수출 부진, 대내적으로는 수요 위축이라는 이중 압박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벌이고 있는 글로벌 무역 전쟁과 미·중 간 긴장의 지속은 최근 두 달간 중국 수출업체들과 이들의 해외 거래처를 롤러코스터에 태우며 세계 경제 성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중국 세관이 9일(현지시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4.5% 급감해,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관세 인하 조치가 4월 초부터 시행됐음에도 수출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5월 중국의 전체 수출은 달러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지만, 이는 4월의 8.1% 증가에 비해 둔화된 수치이며,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5.0%)도 밑돌았다.

반면, 5월 수입은 전년 대비 3.4% 감소하며, 4월의 0.2% 감소보다 낙폭이 커졌고, 시장 예상치(-0.9%)보다도 부진했다.

중국의 수출은 3월과 4월 각각 12.4%, 8.1% 증가했는데, 이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중국 내 공장들이 선적을 서두른 결과였다.

5월에는 미·중 양국이 90일간 대부분의 관세를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수출업체들이 잠시 숨을 돌릴 수 있었지만, 희토류 수출 제한, 대만 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고조된 상태다. 현재 미·중 간 무역대표단은 목요일 양국 정상 간 통화에 이어 월요일 런던에서 협상을 재개했다.

미국산 수입도 더 줄어들었는데, 5월 대미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8.1% 감소해 4월의 13.8% 감소보다 낙폭이 커졌다.

5월 중국의 무역흑자는 1,032억 2,000만 달러로 전월(961억 8,000만 달러)보다 늘었다.

같은 날 발표된 다른 자료에 따르면 원유, 석탄, 철광석 등 주요 원자재 수입도 감소해 중국 내 수요 부진이 외부 요인과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중국 정부는 5월 중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노인 돌봄 및 소비 활성화 지원을 위한 5,000억 위안 규모의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 등 다양한 통화부양책을 내놓았다.

이러한 조치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팬데믹 충격에서 회복 중인 중국 경제가 수출 의존 구조 속에서 무역 전쟁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었다. 중국의 블루칩 지수인 CSI300지수와 상하이종합지수는 각각 0.2% 안팎의 상승세를 보였다.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생산자 및 소비자 물가 지표에 따르면, 5월 디플레이션 압력은 더욱 심화됐다.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대비 3.3% 하락하며 22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고,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했다.

공장 가동 둔화는 미국의 관세 영향이 세계 최대 제조허브인 중국에 미치는 충격을 보여주는 한편, 서비스 부문의 성장세를 약화시키고 있다.

소비심리도 여전히 위축돼 있으며, 일자리 불안과 주택가격 정체 속에 소매판매 증가세도 둔화됐다.

미국 커피 체인 스타벅스는 이날 중국 내 일부 아이스 음료 가격을 평균 5위안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연료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5월 기준 전년 대비 0.6% 상승해, 4월의 0.5%보다는 다소 개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