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희토류 합금, 혼합물, 자석류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가 본격화되면서, 미국에 이어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도 생산 차질과 중단 가능성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핵심 광물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중국의 수출 규제가 자국 생산라인 중단과 지역 경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앞서 유사한 입장을 밝혔던 인도 전기차 업체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중국은 지난 4월, 다양한 핵심 광물과 자석류 제품에 대한 수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글로벌 자동차, 항공우주, 반도체, 방산 업체의 공급망을 뒤흔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전략적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고 제조업을 자국으로 다시 불러오기 위해 중국산 수입품 수백억 달러어치에 고율 관세(최대 145%)를 부과했지만, 금융시장의 강한 반발로 일부 철회한 바 있다.

이에 맞서 중국도 보복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번에는 자국이 장악하고 있는 핵심 공급망을 활용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은 3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주 대화를 가질 예정이며, 희토류 수출 제한 문제가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의 제네바 무역협정 준수 여부를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양국 고위 관계자 간 협의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중국의 완만한 수출 제한 해제 움직임이 제네바 협정 위반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자동차, 드론, 로봇, 미사일 등에 필수적인 희토류 자석의 선적은 중국 항만에서 상당수 중단된 상태이며, 현재 수출 허가 신청은 중국 정부의 심사 과정에 머물러 있다.

이로 인해 도쿄에서 워싱턴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대체 공급처 확보에 분주하지만, 여름이 끝나기 전에 생산 중단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독일 자동차산업협회 힐데가르트 뮐러 회장은 "현 상황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으면, 생산 지연은 물론 생산 중단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 미국 국무부 에너지자원 담당 차관보이자 현재는 광물산업 컨설턴트로 활동 중인 프랭크 패넌은 "현재의 글로벌 공급망 혼란은 예고된 일"이라며, "미국은 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으로 자원 확보 및 국내 생산역량 강화를 서둘러야 한다. 시작 시점은 사실상 '어제'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 일본, 유럽 등 각국의 외교관들과 기업들이 희토류 자석 수출 허가를 신속히 받기 위해 중국 정부와 긴급 회동을 요청하고 있다.

일본은 6월 초 상공부 관계자와 만나기 위해 기업 대표단을 베이징에 파견할 예정이며, 주요 자동차 산업을 보유한 유럽 국가들도 최근 중국 측에 '긴급 회담'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전기차 제조사인 바자즈 오토(Bajaj Auto)는 중국발 희토류 자석 공급 지연이 전기차 생산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며, 향후 2~3주 내로 업계 대표단의 중국 방문을 추진 중이다.

앞서 5월에는 GM,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대표하는 무역단체가 트럼프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당시 이 단체는 "희토류 자원과 자석의 안정적인 접근 없이는 자동차 핵심 부품의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