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석 달만에 1.0%포인트(p) 낮춰 잡았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4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한국 성장률을 1.0%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석 달 전보다 1.0%p 감소한 수치로, 지난 1월 IMF는 한국 성장률을 2.0%로 전망한 바 있다.

또한 IMF는 내년 한국 성장률도 2.1%에서 0.7%p 내려간 1.4%로 전망했다.

IMF는 1·4·7·10월 연간 4차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하는데, 4월과 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주전망이며 1월과 7월은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한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는 최근의 높은 정책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기존의 단일 전망(baseline) 대신, 전망 기준일에 따른 ‘기준 전망(reference forecast)’과 ‘보완 전망(alternatives)’을 함께 제시하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했다.

IMF는 4월 4일 기준점으로 한 기준 전망에서 무역긴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해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하향하면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5%p 하향한 2.8%로 전망했다.

보완 전망에서는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4월 2일 이전 기준으로는 미국의 2~3월 무역정책, 높은 유가 전망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의 성장률이 대폭 둔화됨에 따라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1%p 하향한 3.2%로 전망했다.

4월 9일 이후 기준으로는 올해 상호관세 90일 유예의 효과가 미국과 중국의 성장률 하락으로 상쇄되어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고, 내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손실이 다른 국가의 이득을 넘어섬에 따라 기준 전망(3.0%) 보다 소폭 낮은 2.9%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IMF는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 대비 △0.5%p 하향된 1.4%로 예측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1.8%)은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올해 성장률이 대폭 하락(1월 전망대비 -0.9%p) 조정됐고,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일본(0.6%)도 하향 조정됐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고 진단하면서,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고금리 및 높은 부채수준으로 인한 재정·통화 정책 여력 부족, 주가 및 시장가격 재조정 가능성 등 금융·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될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IMF는 고조된 불확실성과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무분별한 산업 보조금을 지양하고,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를 통한 무역 분절화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금융시장 안정과 기대 인플레이션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건전한 재정운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국가별 금융·외환시장 성숙도에 맞는 적절한 개입 및 건전성 조치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이밖에 중기 성장잠재력 회복을 위한 여성·고령층 노동 참여 제고와 AI·디지털 기술 투자확대, 규제 정비 등의 노력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