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유럽연합(EU)이 미국이 8월 1일부터 유럽산 제품에 대해 3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보복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지난 12일(현지시간) "8월 1일 전까지 합의 도출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면서도 "필요할 경우 EU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유럽 각국 정부은 잇달아 폰 데어 라이엔의 입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독일 경제장관 카타리나 라이헤는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트럼프가 제안한 관세는 유럽 수출 기업에 타격을 줄 뿐 아니라 미국 소비자와 경제에도 심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X(구 트위터)를 통해 "지금은 유럽연합이 단호하게 유럽의 이익을 방어해야 할 때"라며 유럽위원회의 강경 대응을 촉구했다.

마크롱은 트럼프가 철회하지 않을 경우, 단순한 관세를 넘어 서비스 무역까지 제재할 수 있는 '강압 대응 수단(anti-coercion instruments)' 사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의 1기 당시 마련된 도구로, 중국을 대상으로 사용된 바 있으며, 무역을 통해 정치적 변화를 강요하는 행위에 대응하기 위한 EU의 수단이다.

스페인 경제부도 협상을 지지하면서도 "필요시 비례적 보복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한편, EU 무역장관들은 14일(현지시간) 브뤼셀에서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는 미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기존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21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지, 아니면 이날까지 유예된 보복조치 중단을 연장할지를 놓고 결정이 이뤄진다.

EU는 지금까지 실제 보복 관세 시행을 유보해왔지만, 이미 두 개의 보복 패키지를 마련해 두었으며, 이는 최대 93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