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25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계획이 단기적인 물가 상승에 그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도 충분한 만큼 연준은 금리 인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경제 이론상 관세는 일회성 가격 충격으로 간주되지만, 그것이 반드시 자연법칙처럼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며, "궁극적인 관세 수준과 그로 인한 가격 및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관세가 빠르게 시행되고 금방 끝난다면 확실히 일회성 효과로 그칠 수 있다"면서도, "우리는 물가 안정을 책임지는 기관으로서 그 리스크를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현재 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를 밝혔다.

이어 "관세의 효과는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며 "만약 우리가 실수하면 그 대가는 오랜 시간 국민이 지게 된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올해 안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여전히 예상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시기는 관세 정책의 방향성과 그 영향에 대한 추가 데이터에 달려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즉각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화당 의원들 역시 하원과 상원 청문회에서 파월 의장에게 왜 더 적극적으로 금리를 인하하지 않느냐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이번 관세 계획은 현대 경제사에서 유례가 없는 규모이며, 트럼프 1기 당시 부과된 관세조차도 현재 계획보다 훨씬 작고 당시 인플레이션도 낮았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이미 4년째 2% 목표치를 초과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새로운 관세가 인플레이션의 장기화로 이어질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이번 상황은 이전과는 다르다"며, "우리는 우리의 추정에 대해 겸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하원 청문회에서도 "여름부터는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며, "6월과 7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빠르면 연내 조기 금리 인하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시점을 특정 회의에 맞추고 싶지는 않다"며, "지금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하고 관세 효과도 불확실하기 때문에 서두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