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국산 자동차 부품 관세 부과로 업계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완성차·금융권이 손을 맞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현대자동차·기아, 하나은행, 무역보험공사와 함께 6,300억 원 규모의 수출금융 지원 협약을 체결하고, 자동차 공급망 안정화와 협력사 경쟁력 강화를 본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미국의 관세 조치 등 불확실한 수출 환경 속에서 자동차 분야 공급망 안정을 목표로 마련된 것으로, 대·중소기업의 상생 및 민관 금융협력 체계를 통해 실현됐다.

이번 현대차·기아의 출연은 기업이 무역보험기금에 출연하는 첫 사례다.

이번 협약으로 신설되는 '자동차 협력사 우대금융 상품(수출공급망강화보증)'은 협력사들이 현대차·기아를 포함한 완성차 회사에 납품하기 위해 필요한 제작자금을 저금리·고한도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대차·기아 협력사들은 하나은행으로부터 최대 2%p까지 인하된 금리로 제작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으며, 무보로부터 보증 한도 상향, 보증기간 확대(1년→3년), 보증료율 인하(1%→0.65%) 등의 우대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무보에 납부하는 보증료는 하나은행이 지원해줌으로써 협력사의 비용 부담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날 협약식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동차 부품 제조·수출기업인 디와이오토 임연찬 대표에게 '수출공급망강화보증 1호 보증서'를 전달했다.

이어 최재홍 서진산업 대표와 김남교 엔티엠 대표에게 2호·3호 보증서를 전달했다.

김 장관은 "올해 7월까지 수출이 국내 정치 불안과 美 관세 등 전례 없는 불확실성에도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수출 현장에서 불철주야 애써주신 기업인들의 노고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김 장관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경쟁조건을 확보했으며, 조선·자동차 등 전략산업 분야에서 미측과 협력을 강화하여 새로운 미국 시장 진출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관세 조치에 대응하여 수출 애로 해소, 대체시장 진출, 세제·자금 지원 등 후속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우리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압도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전략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정부 정책과정에서 기업인들의 의견을 경청·공감하고 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현장 소통형 릴레이 간담회를 지속하여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신속하게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