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0.8%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며, 건설업 부진과 미국 반도체 고율 관세 등의 불확실성을 주요 리스크로 지목했다.

특히,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 회복세와 경기 부양 기대감이 있었지만, 건설업 부진이 발목을 잡아 전망치 상향이 어려웠다는 분석이다.

12일 KDI가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건설투자 증가율은 -8.1%로 기존 전망보다 3.9%포인트 낮췄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건설현장 안전사고 여파 등이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2.1%로, 상반기 전망 대비 1.8%포인트 상향됐다.

반도체 경기 호조 속 미국 관세 인상에 대비한 '선제적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올해 전체 수출 증가율은 작년(6.8%)보다 크게 둔화할 것으로 봤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소비쿠폰 등 부양책과 낮은 금리 효과로 1.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로 예측됐다. 유류세·공공요금 인상은 물가 상방 요인이지만, 수요 압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경상수지는 반도체 경기와 교역조건 개선에 힘입어 1,06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5만 명으로, 상반기보다 6만 명 상향됐다.

내년 성장률은 1.6%로 올해보다 소폭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2.6%)와 민간소비(1.5%) 회복이 주요 견인 요인이다.

다만, KDI는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와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 지연을 주요 하방 위험으로 경고했다.

이번 전망에는 미국이 최근 발표한 반도체 100% 품목 관세는 반영되지 않았다.

KDI는 2차 추경이 하반기 GDP를 0.2%포인트, 연간으로는 0.1%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