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재무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판매 부진과 평가액 하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현지 개발사 채권 만기 규모가 2026년 71억 달러로 2025년 42억 달러 대비 약 70%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와 채권단 전반의 압박이 불가피하다는 평가다.
18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로드킹이 2021년 중국발 부동산 위기 이후 홍콩 개발사 최초로 채권 이자 지급을 불이행했고, 앞서 엠퍼러인터내셔널도 대출 연체/디폴트를 겪었다.
애널리스트들은 상업용 부동산 회복 가망이 짧은 기간 내 크지 않고 신규 자금 조달 창구도 제한적인 만큼, 상환 부담이 커지는 개발사가 더 늘 수 있다고 본다.
부동산 및 연관 산업은 홍콩 GDP의 약 1/4을 차지한다.
업계의 부실 확대는 경기뿐 아니라 개발사 익스포저가 큰 HSBC 등 채권단/은행권에도 부담 요인이다.
오피스·리테일 자산가치가 2019년 고점 대비 50% 이상 하락, 회복 가시성도 낮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재무 일정도 촘촘하다.
뉴월드디벨롭먼트는 내년 1억 6,800만 달러, 2027년 6억 3,000만 달러의 채권 만기가 돌아오고, 라이스선디벨롭먼트는 내년 5억 2,400만 달러 상환이 예정돼 있다.
뉴월드는 차입금 약 HK$1,800억(약 미화 230억 달러)로 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로 꼽히지만, 지난 6월 약 미화 112억 달러(HK$882억) 규모의 차환에 성공하며 디폴트를 모면했다.
은행권도 충격을 흡수 중이다.
한센은행은 올해 상반기 홍콩 상업용 부동산 관련 HK$25억 충당금을 쌓아 전년 대비 224% 증가를 기록했다.
HSBC는 내부 모델 조정으로 '유의미한 신용위험' 단계에 분류된 홍콩 상업용 부동산 대출 잔액이 6월말 미화 181억 달러로 3배 늘었다고 밝혔다.
다만, HSBC는 해당 분류 증가는 실제 부실을 의미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S&P에 따르면 상업용 부동산 대출은 홍콩 전체 은행대출의 약 9%, 이 중 최대 70%가 담보(담보인정비율 45~55%)다.
에디 유 홍콩 금융관리국(HKMA) 총재는 "은행 시스템은 자본·충당금이 충분해 변동성에 견딜 체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시장 일각에선 은행들이 부실로 즉시 분류해 상환을 요구하거나 담보를 회수하기보다, 자산 시장의 추가 악화를 우려해 시간을 벌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