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가운데 저축은행들이 오히려 예금금리를 올리는 '역주행'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저축은행 79곳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2.99%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 평균 금리는 2.49%로, 기준금리가 낮아지고 있음에도 시중은행 대비 약 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저축은행 업계의 행보는 다음 달부터 예금자보호 한도가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되면서 고금리 전략을 통해 고객 자금 유입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금자보호한도가 오르게 되면 시중은행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고금리 상품을 갖춘 저축은행 업계로의 자금 이동이 예상된다"며 "일부 저축은행은 3%대 금리 상품을 계속해서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의 금리 인상은 소비자 입장에선 반가운 소식이지만, 저축은행 업계에는 부담이 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예금보험료율은 0.4%로 시중은행(0.08~0.1%)보다 훨씬 높아, 예금자보호 한도 상향에 따른 자금 유입이 증가하면 비용 부담도 커져 재무 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도 여전하다. 이로 인해 일부 저축은행은 신용등급이 하락하거나 스스로 등급을 취소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퇴직연금 등 다른 자금 조달 수단에도 제약이 생기면서, 고금리 경쟁이 단기적인 자금 확보 수단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재무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자금 유입이 늘어나겠지만, 장기적인 성장 동력 확보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금자보호 한도 확대에 따른 수신 경쟁이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업계는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해 더욱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